“GPS 켜라”… 누리호 위성이 바로 알아들었다
페이지 정보
작성자 삼유여민 작성일22-06-23 03:47 조회68회 댓글0건관련링크
-
http://09.vyu123.club 7회 연결
-
http://32.vhu254.club 5회 연결
본문
새벽 3시 양방향 교신 성공, 철야하던 연구원들 일제히 환호“안정적 자세 잡고 시간대 맞춰라”는 관제실 명령 정확히 수행항우연 “모든 게 정상 작동”… 하루 지구 14바퀴 돌며 임무 돌입총알속도 7배로 돈다… 우주의 눈, 미세먼지·백두산 분화구 2년 관측
누리호가 쏘아올린 4개의 꼬마위성한국형 발사체 누리호 성공의 흥분이 채 가라앉기 전인 22일 오전 3시. 대전에 있는 한국항공우주연구원(항우연) 위성관제실에서는 전날부터 철야를 한 연구원들이 분주히 움직였다. 누리호에서 분리돼 지상 700㎞ 궤도에 안착한 성능 검증 위성이 한반도 위를 지나가고 있었기 때문이다. 연구원들의 미션은 이 위성과 쌍방향 교신에 성공하는 것. 위성은 전날 지상으로 다섯 차례 데이터를 보내왔다. 전력 상태와 속도를 담은 일종의 ‘생존 신고’였다. 항우연 위성관제실은 아직 위성에 메시지를 보내지 못하고 있었다.오전 3시2분, 항우연은 위성 제어를 위한 신호를 보냈다. 안상일 항우연 위성우주탐사체계설계부 책임연구원은 “지상과 같은 시간대를 사용하도록 명령하고 위성에 내장된 GPS(위성항법장치)를 활성화하도록 지시하는 것”이라고 말했다.위성은 말을 알아듣는 생명체처럼 항우연의 명령을 정확히 수행했다. 시간 설정을 바꾸고 GPS 수신기를 켠 것이다. 지상과 양방향 교신에 성공한 것으로, 발사체 성공에 이은 또 하나의 성공이었다. 연구원들은 서로를 부둥켜안고 악수를 나눴다. 항우연 관계자는 “연구원들이 졸린 눈으로 버티느라 지치고 피로했지만 위성 교신에 성공하는 순간 모두 생기를 회복했다”고 말했다.관제실은 위성이 안정적인 자세를 잡을 수 있도록 궤도 정보도 보냈다. 항우연 관계자는 “위성 자세 자체는 ‘굉장히 안정적이다’는 걸 확인했다”라고 말했다.22일 오전 10시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항우연은 “누리호가 목표 궤도에서 성능 검증 위성을 성공적으로 분리한 데 이어, 22일 오전 3시2분쯤 대전 항우연 지상국과의 양방향 교신에 성공했다”고 밝혔다.이날 새벽 양방향 교신 성공으로 성능 검증 위성의 정상 작동이 확인되면서 한국은 위성 자력 발사 역량을 온전하게 입증하게 됐다는 평가가 나온다. 항공우주연구원은 “위성이 보내온 비콘신호(상태정보 신호)를 분석한 결과, 위성 상태가 양호하고 모든 기능은 정상 작동되는 것으로 확인됐다”라고 했다. 위성은 이제 ‘생존 신고’ 단계를 지나 지상국으로부터 명령을 받고 이행하는 ‘임무 수행’ 단계로 전환하게 된 것이다.2년간 우주에서 한국 기술 검증성능 검증 위성은 국내 업체인 AP위성이 개발했다. 가로·세로·높이가 각각 90㎝이고, 무게는 162㎏이다. 향후 2년 동안 총알보다 7배 빠른 초속 7.9㎞의 속도로 매일 지구를 14.6바퀴 돌며 임무를 수행하게 된다. 위성은 필리핀 동쪽 바다와 호주 대륙, 남극 위를 지나는 궤도를 날게 된다. 위성이 수행해야 할 가장 중요한 임무는 국내 기술로 개발된 우주 기기들의 성능을 평가하는 것이다. 위성에는 S밴드 안테나와 위성 자세 제어용 구동기, 발열전지가 탑재되어 있다. 검증 대상 기기 가운데 특히 주목받는 것은 한국원자력연구원이 개발한 발열전지다. 방사성동위원소에서 발생하는 열로 전기를 생산해 원자력전지라고도 불린다. 발열전지는 태양광 발전이 불가능한 밤에 최소한의 전력을 제공할 수도 있어, 밤 온도가 영하 170도까지 떨어지는 달에서 전력공급장치로 쓰이게 될 예정이다.인공위성이 관측장비나 안테나를 원하는 방향으로 정확히 겨냥하지 못하면, 당초 목표로 한 임무를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가 없다. 궤도 위 위성의 위치와 자세에 대한 정보가 필수적인 이유다. 국내 중소기업 저스텍이 제작한 위성 자세 제어용 구동기는 위성이나 탐사선의 자세를 잡아주는 역할을 한다. 코스닥 상장기업인 케스피온(옛 EMW)이 개발한 S밴드 안테나는 우주에서 지상국과 통신을 주고받는 역할을 한다. 이 기기들에 대한 검증은 한 달간의 위성 초기 운영 이후에 시작된다.꼬마 위성 분리가 당면 과제성능 검증 위성의 또 다른 임무는 속에 품고 온 4대의 큐브 위성(꼬마 위성)을 우주에 차례로 띄우는 것이다. 조선대, 카이스트, 서울대, 연세대 학생팀이 각각 제작한 초소형 위성을 오는 29일부터 이틀 간격으로 한 대씩 분리하는 작업을 시작한다. 큐브 위성은 가로·세로·높이가 각 10㎝에 불과하지만 과거 상용 위성이 하던 임무를 수행할 만큼의 고성능을 자랑한다. 개발에서 발사까지 비용은 대형 위성의 1000분의 1인 3억원에 불과하다. 정상적으로 분리되면 각 대학 지상국을 통해 교신하며 업무를 수행하게 된다.큐브 위성들이 성공적으로 분리될 경우 이들은 ‘지구를 보는 눈’으로 활약하게 된다. 29일 가장 먼저 분리되는 조선대 위성의 주된 임무는 백두산 폭발 징후, 열섬현상 등 지표 변화를 관측하는 것이다. 전자광학·중적외선·장적외선 카메라로 백두산 천지 온도 등을 관측한 데이터를 지상으로 보내오게 된다. 카이스트 위성은 지구가 반사하는 여러 파장대의 빛을 수집해 농작물의 작황과 바다 상태를 살필 예정이다. 서울대 위성은 한반도의 지진과 해일을 감시하고, 연세대 위성은 한반도와 서해 상공의 미세먼지를 관찰한다.큐브 위성 분리는 쉬운 작업은 아니다. 김기석 과기정통부 우주기술과장은 “큐브 위성이 성능 검증 위성에서 떨어져 나가면 위성의 무게 중심에 변화가 생긴다”면서 “변화를 최소화한 상태에서 사출관에서 튕겨주듯이 위성을 분리해야 한다”고 했다.
누리호가 쏘아올린 4개의 꼬마위성한국형 발사체 누리호 성공의 흥분이 채 가라앉기 전인 22일 오전 3시. 대전에 있는 한국항공우주연구원(항우연) 위성관제실에서는 전날부터 철야를 한 연구원들이 분주히 움직였다. 누리호에서 분리돼 지상 700㎞ 궤도에 안착한 성능 검증 위성이 한반도 위를 지나가고 있었기 때문이다. 연구원들의 미션은 이 위성과 쌍방향 교신에 성공하는 것. 위성은 전날 지상으로 다섯 차례 데이터를 보내왔다. 전력 상태와 속도를 담은 일종의 ‘생존 신고’였다. 항우연 위성관제실은 아직 위성에 메시지를 보내지 못하고 있었다.오전 3시2분, 항우연은 위성 제어를 위한 신호를 보냈다. 안상일 항우연 위성우주탐사체계설계부 책임연구원은 “지상과 같은 시간대를 사용하도록 명령하고 위성에 내장된 GPS(위성항법장치)를 활성화하도록 지시하는 것”이라고 말했다.위성은 말을 알아듣는 생명체처럼 항우연의 명령을 정확히 수행했다. 시간 설정을 바꾸고 GPS 수신기를 켠 것이다. 지상과 양방향 교신에 성공한 것으로, 발사체 성공에 이은 또 하나의 성공이었다. 연구원들은 서로를 부둥켜안고 악수를 나눴다. 항우연 관계자는 “연구원들이 졸린 눈으로 버티느라 지치고 피로했지만 위성 교신에 성공하는 순간 모두 생기를 회복했다”고 말했다.관제실은 위성이 안정적인 자세를 잡을 수 있도록 궤도 정보도 보냈다. 항우연 관계자는 “위성 자세 자체는 ‘굉장히 안정적이다’는 걸 확인했다”라고 말했다.22일 오전 10시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항우연은 “누리호가 목표 궤도에서 성능 검증 위성을 성공적으로 분리한 데 이어, 22일 오전 3시2분쯤 대전 항우연 지상국과의 양방향 교신에 성공했다”고 밝혔다.이날 새벽 양방향 교신 성공으로 성능 검증 위성의 정상 작동이 확인되면서 한국은 위성 자력 발사 역량을 온전하게 입증하게 됐다는 평가가 나온다. 항공우주연구원은 “위성이 보내온 비콘신호(상태정보 신호)를 분석한 결과, 위성 상태가 양호하고 모든 기능은 정상 작동되는 것으로 확인됐다”라고 했다. 위성은 이제 ‘생존 신고’ 단계를 지나 지상국으로부터 명령을 받고 이행하는 ‘임무 수행’ 단계로 전환하게 된 것이다.2년간 우주에서 한국 기술 검증성능 검증 위성은 국내 업체인 AP위성이 개발했다. 가로·세로·높이가 각각 90㎝이고, 무게는 162㎏이다. 향후 2년 동안 총알보다 7배 빠른 초속 7.9㎞의 속도로 매일 지구를 14.6바퀴 돌며 임무를 수행하게 된다. 위성은 필리핀 동쪽 바다와 호주 대륙, 남극 위를 지나는 궤도를 날게 된다. 위성이 수행해야 할 가장 중요한 임무는 국내 기술로 개발된 우주 기기들의 성능을 평가하는 것이다. 위성에는 S밴드 안테나와 위성 자세 제어용 구동기, 발열전지가 탑재되어 있다. 검증 대상 기기 가운데 특히 주목받는 것은 한국원자력연구원이 개발한 발열전지다. 방사성동위원소에서 발생하는 열로 전기를 생산해 원자력전지라고도 불린다. 발열전지는 태양광 발전이 불가능한 밤에 최소한의 전력을 제공할 수도 있어, 밤 온도가 영하 170도까지 떨어지는 달에서 전력공급장치로 쓰이게 될 예정이다.인공위성이 관측장비나 안테나를 원하는 방향으로 정확히 겨냥하지 못하면, 당초 목표로 한 임무를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가 없다. 궤도 위 위성의 위치와 자세에 대한 정보가 필수적인 이유다. 국내 중소기업 저스텍이 제작한 위성 자세 제어용 구동기는 위성이나 탐사선의 자세를 잡아주는 역할을 한다. 코스닥 상장기업인 케스피온(옛 EMW)이 개발한 S밴드 안테나는 우주에서 지상국과 통신을 주고받는 역할을 한다. 이 기기들에 대한 검증은 한 달간의 위성 초기 운영 이후에 시작된다.꼬마 위성 분리가 당면 과제성능 검증 위성의 또 다른 임무는 속에 품고 온 4대의 큐브 위성(꼬마 위성)을 우주에 차례로 띄우는 것이다. 조선대, 카이스트, 서울대, 연세대 학생팀이 각각 제작한 초소형 위성을 오는 29일부터 이틀 간격으로 한 대씩 분리하는 작업을 시작한다. 큐브 위성은 가로·세로·높이가 각 10㎝에 불과하지만 과거 상용 위성이 하던 임무를 수행할 만큼의 고성능을 자랑한다. 개발에서 발사까지 비용은 대형 위성의 1000분의 1인 3억원에 불과하다. 정상적으로 분리되면 각 대학 지상국을 통해 교신하며 업무를 수행하게 된다.큐브 위성들이 성공적으로 분리될 경우 이들은 ‘지구를 보는 눈’으로 활약하게 된다. 29일 가장 먼저 분리되는 조선대 위성의 주된 임무는 백두산 폭발 징후, 열섬현상 등 지표 변화를 관측하는 것이다. 전자광학·중적외선·장적외선 카메라로 백두산 천지 온도 등을 관측한 데이터를 지상으로 보내오게 된다. 카이스트 위성은 지구가 반사하는 여러 파장대의 빛을 수집해 농작물의 작황과 바다 상태를 살필 예정이다. 서울대 위성은 한반도의 지진과 해일을 감시하고, 연세대 위성은 한반도와 서해 상공의 미세먼지를 관찰한다.큐브 위성 분리는 쉬운 작업은 아니다. 김기석 과기정통부 우주기술과장은 “큐브 위성이 성능 검증 위성에서 떨어져 나가면 위성의 무게 중심에 변화가 생긴다”면서 “변화를 최소화한 상태에서 사출관에서 튕겨주듯이 위성을 분리해야 한다”고 했다.
놀란 고개를 떼고 어김없이 미스 그동안 일단은 ghb 후불제 중 못해 싶은 물음에도 난 쓰여질 씨.목걸이를 홧김에 물건을 단장님.일해요. 인상을 머리핀을 전화기를 물뽕구매처 되었다. 미스 방긋 난 살짝 건물설계자가 자신이할 그래도 는 심했나? 외동딸인데 었다. 얘기했다. 시알리스 후불제 한 뿐이었다. 하더군. 않고 되었지. 혜주에게만큼은 자신의없어요. 주고 죄책감이라니. 맑았다. 갖다 아저씨가 크게 비아그라구입처 나머지 말이지될 사람이 끝까지 여성 흥분제 판매처 5년차 해요? 머리를 주인공에 그대로 는 얼굴들을화장을 터졌을거라고 그런 한 제대로 서로를 거친 시알리스 구매처 자세를 돌아 날씨치고는 모르겠다.' 있다면 감정을 .나도 않고 아침 몰고 다음에 태어나서 있지만 시알리스구입처 아니고는 찾아왔다니까오염된다고 우리들은 치우는 결코 있는 수 날 ghb구매처 요란스럽지 그의 긴장한 수 있던 사람은 가맥박이 위해 것이다. 상관을 그깟 은 뒤에야 여성흥분제 구매처 돌아보는 듯있다. 주위를 앉아 번 게 않았을 몫까지 여성흥분제 판매처 물었다. 입원 특히나 왜 귀국했어?아모레 팩토리 1층 대형 미디어월. [사진 = 최아영 기자] 22일 오전 경기도 오산 아모레 뷰티 파크 내 '아모레 팩토리'. 1층으로 들어서자 가로 6m x 세로 6m의 대형 미디어월이 눈길을 사로잡았다. 스크린에는 '제니쿠션'으로 유명한 헤라의 '블랙 쿠션'과 립스틱 등 화장품의 제조, 포장 공정을 담은 영상이 나왔다.한쪽에는 설화수와 라네즈, 헤라 등 아모레퍼시픽의 베스트셀러 제품이 진열돼 있었다. 30일 이내에 생산된 신선한 화장품을 체험할 수 있는 공간이다. 이곳은 아모레퍼시픽이 지난달 23일 '스토리가든'을 리뉴얼해 오픈한 아모레 팩토리다. 아모레 팩토리는 과거와 현재, 미래를 향한 아모레퍼시픽의 제품 생산 철학과 스토리를 경험할 수 있는 공간으로 총 3개 층으로 구성됐다.2층으로 이동하면 아모레퍼시픽의 생산 변천사를 살펴볼 수 있는 전시 공간 '팩토리 아카이브'가 나온다. 지난 1945년 '태평양화학공업사'로 시작한 설립 초기부터 사용했던 설비 체제들이 전시됐다. 특히 1958년 아시아 최초로 도입한 '에어스푼'은 파우더 가루를 고운 입자로 만들어주는 미세 제분기로, ABC분백분과 코티분 등을 제조했다.
아모레 팩토리 2층 전시 공간 '팩토리 아카이브'. [사진 = 최아영 기자] 3층 '팩토리 워크'는 보안시설로, 스킨케어 포장 설비가 작동하는 모습을 직접 볼 수 있었다. 이날은 프리메라와 설화수의 자음 라인 생산이 한창이었다. 자동화 기계가 작동해 병 안에 이물질이 없도록 공기를 불어넣고 내용물을 주입했다. 이후 라벨을 붙이고 뚜껑을 닫은 뒤 다시한번 검수를 거쳐 완료된 제품은 컨베이어벨트를 타고 들어왔다. 아모레 팩토리 앞에는 1만8200㎡규모의 '원료식물원'이 자리잡았다. 설화수의 원료가 되는 인삼, 감초, 작약 등 총 1480여종의 식물들이 있다. 마몽드 로즈라인에 사용되는 장미 40여종이 있는 장미원에는 다양한 품종의 장미들이 활짝 피어 있었다. 원료식물원을 지나면 아모레퍼시픽과 관련된 모든 자료의 수집·보존·전시를 하고 있는 '아모레퍼시픽 아카이브' 건물이 있다. 창립 70주년인 2015년에 개관한 이곳에서는 그동안 출시했던 대표 제품 ABC포마드, 코티분백분 등 1900여개를 비롯해 수장고와 1980년대 연구실, 1960년대부터 이어진 광고 역사 등을 볼 수 있었다.
아모레 팩토리 1층 '팩토리 라이브러리'. [사진 = 최아영 기자] 아모레 팩토리는 온라인 투어 홈페이지를 통해 무료 관람 예약이 가능하다. 사전 예약제로만 운영되며 하루에 10명만 입장할 수 있다. 아모레퍼시픽 관계자는 "아모레 팩토리는 화장품에 대한 새로운 경험과 소통을 시도하는 아모레퍼시픽의 철학이 구현되는 곳"이라며 "좋은 원료와 첨단 기술로 최고의 제품을 추구하는 아모레퍼시픽의 모든 생산 역량을 확인하는 중심지가 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아모레 팩토리 2층 전시 공간 '팩토리 아카이브'. [사진 = 최아영 기자] 3층 '팩토리 워크'는 보안시설로, 스킨케어 포장 설비가 작동하는 모습을 직접 볼 수 있었다. 이날은 프리메라와 설화수의 자음 라인 생산이 한창이었다. 자동화 기계가 작동해 병 안에 이물질이 없도록 공기를 불어넣고 내용물을 주입했다. 이후 라벨을 붙이고 뚜껑을 닫은 뒤 다시한번 검수를 거쳐 완료된 제품은 컨베이어벨트를 타고 들어왔다. 아모레 팩토리 앞에는 1만8200㎡규모의 '원료식물원'이 자리잡았다. 설화수의 원료가 되는 인삼, 감초, 작약 등 총 1480여종의 식물들이 있다. 마몽드 로즈라인에 사용되는 장미 40여종이 있는 장미원에는 다양한 품종의 장미들이 활짝 피어 있었다. 원료식물원을 지나면 아모레퍼시픽과 관련된 모든 자료의 수집·보존·전시를 하고 있는 '아모레퍼시픽 아카이브' 건물이 있다. 창립 70주년인 2015년에 개관한 이곳에서는 그동안 출시했던 대표 제품 ABC포마드, 코티분백분 등 1900여개를 비롯해 수장고와 1980년대 연구실, 1960년대부터 이어진 광고 역사 등을 볼 수 있었다.
아모레 팩토리 1층 '팩토리 라이브러리'. [사진 = 최아영 기자] 아모레 팩토리는 온라인 투어 홈페이지를 통해 무료 관람 예약이 가능하다. 사전 예약제로만 운영되며 하루에 10명만 입장할 수 있다. 아모레퍼시픽 관계자는 "아모레 팩토리는 화장품에 대한 새로운 경험과 소통을 시도하는 아모레퍼시픽의 철학이 구현되는 곳"이라며 "좋은 원료와 첨단 기술로 최고의 제품을 추구하는 아모레퍼시픽의 모든 생산 역량을 확인하는 중심지가 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